본문 바로가기

건강

굶어도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 이것 때문 일수도

반응형

"굶으면 살이 빠진다"는 단순한 논리이지만 생각보다 어렵다. 문제는 이 어려운 난관을 극복하고 공복을 이겨내며 굶어냈지만 원하는 만큼 살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며칠 동안 굶거나 극단적인 저칼로리 식단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계 수치가 그대로인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기아모드

우리 몸은 놀라울 정도로 복잡하고 정교한 생존 본능을 가지고 있다. 즉 오랜시간 진화를 거쳐오면서 우리가 몰랐던 숨겨진 기능들이 존재하기도 한다는 의미다. 그러니까 지금과 같이 음식 자원이 풍족하지 않을때는 쫄쫄 굶었을 일이 많아서 이러한 극한 상황에서도 우리 신체는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기아모드 또는 adaptive thermogenesis 현상에 돌입하게 될수 있다.

반응형

쉽게 말하면 이 상황이 될경우 생존을 위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살을 빼기 위한 기초대사량은 줄일수 있을 만큼 줄이고 근육은 우리 몸에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조직인 만큼 근력량을 감소 시켜 지방으로 축적하려고 한다.

 

이러한 작용이 유지가 되면 같은 양의 음식을 섭취해도 이전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얻고, 더 적은 에너지를 소비 하는 상황이 연출하게 된다.

 

굶었는데 살이 찐다?

몰론 기아모드가 단시간내에 발생하고 모두다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초기에는 살이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후로는 기아모드가 발생하게 되면 체중 증가를 유발하는 요요 현상의 주범이 될수가 있다. 극단적인 저칼로리 식단을 통해 일시적으로 체중을 감량하더라도, 우리 몸은 이미 기아 모드에 돌입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최소화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양은 분명 줄었는데 에너지 소비량이 같이 줄어들어서 몸무게가 여전하거나 또는 오히려 찌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뱃살이나 턱살 같은 지방이 축적되기 쉬운 부분부터 살이 찐다.

 

건강하게 살 빼는 방법

  1.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여러 영양소를 골구루 섭취하고 근육을 유지한다.
  2. 물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포만감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라서 하루 2리터를 마셔주자
  3. 하루 세 끼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끼니를 거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굶는다고 살빠지는거 아님
  4. 수면 부족은 식욕을 증가시키고, 신진대사를 저하시켜 체중 감량을 방해하니 하루 7~8시간은 자자
  5. 스트레스는 식욕을 증가시키고, 폭식을 유발하는 요소가 되니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
  6. 여러번 다이어트를 시도 했음에도 성공하지 못했다면 이때는 스스로는 못하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