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50살 넘었다면 선택이 아닌 필수인 예방접종 5가지

반응형

 

어릴 때 맞은 예방접종, 한 번이면 평생 간다고 생각하셨나요? 천만의 말씀! 성인이 되면 약해지는 면역력과 변화하는 질병 위험에 맞춰, 우리 몸의 '방어막'을 다시 점검하고 강화해야 할 때입니다. 2025년 당신의 건강을 위해 놓치지 말아야 할 성인 필수 예방접종을 소개합니다.
반응형

'예방접종'이라고 하면 으레 어린 아기들이나 맞는 주사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어릴 때 형성된 백신의 면역 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약해지며, 나이가 들면서 오히려 더 치명적인 질병에 노출될 위험은 커지게 됩니다. 성인 예방접종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나와 내 가족, 그리고 우리 사회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필수' 항목이 되었습니다.

 

특히 중장년층으로 접어들면서 면역력이 자연스럽게 저하되기 시작하면, 젊을 땐 가볍게 지나갔을 질병도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성인들이 꼭 확인하고 챙겨야 할 필수 예방접종 TOP 5를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

2025년, 놓치면 후회! 성인 필수 예방접종 TOP 5

아래 5가지 예방접종은 건강한 성인이라면 반드시 접종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담 후 접종을 고려해야 합니다.

  1. 1.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Tdap/Td) : 10년마다 재충전!
    파상풍 주사의 면역 효과는 10년 정도만 유지됩니다. 따라서 모든 성인은 10년마다 파상풍-디프테리아(Td) 백신을 추가로 맞아야 합니다. 특히 이전에 한 번도 백일해(ap)가 포함된 백신을 맞지 않았다면, 한 번은 Tdap으로 접종하여 신생아에게 백일해를 옮길 위험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2. 대상포진 : 50세 이상이라면 선택 아닌 필수!
    어릴 적 수두를 앓았던 사람의 몸에 잠복해있던 바이러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다시 활성화되는 병입니다. 극심한 통증과 심각한 신경통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50세 이상 성인에게는 예방접종이 강력히 권고됩니다.
  3. 3. 폐렴구균 : 65세 이상 및 만성질환자의 든든한 방패!
    폐렴은 국내 사망 원인 3위에 오를 만큼 위험한 질병입니다.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이나 당뇨병,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폐렴구균 감염 시 치명률이 매우 높으므로, 예방접종을 통해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
  4. 4. 인플루엔자 (독감) : 매년 가을의 연례행사!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유행하는 종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작년에 맞았더라도 올해 다시 맞아야 합니다. 일반 감기와는 다른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매년 9~10월에는 잊지 말고 꼭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5. 5. 사람유두종바이러스 (HPV) : 남녀 모두를 위한 암 예방 백신!
    자궁경부암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HPV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두경부암, 항문암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청소년기 여성만 대상이었지만, 최근에는 남성과 성인(만 26세, 의사 소견에 따라 45세까지)에게도 접종이 적극 권장됩니다.
알아두세요!
A형 간염 예방접종도 확인해보세요! 1980년대 이전 출생자는 A형 간염에 대한 면역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이 A형 간염에 걸리면 증상이 훨씬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항체 검사 후 면역이 없다면 2회에 걸쳐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하세요!
예방접종 전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와 과거 접종 이력을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특정 질환을 앓고 있거나 임신 중인 경우, 접종 가능 여부와 시기를 조절해야 할 수 있습니다. '나도 맞아야지' 하고 무작정 병원에 가기보다, 전문가와 상담 후 안전하게 접종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Q: 대상포진 예방접종, 한 번 맞으면 평생 가나요?
A: 백신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과거에 주로 사용되던 생백신(예: 조스타박스)은 1회 접종하며 예방 효과가 시간이 지나며 감소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더 높은 예방 효과와 긴 지속기간을 보이는 사백신(예: 싱그릭스)이 권장되며, 이는 2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의사 선생님과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백신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독감 백신은 매년 맞아야 해서 번거로운데, 꼭 맞아야 하나요?
A: 네, 꼭 맞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유행하는 종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가 그해에 유행할 바이러스를 예측하여 백신을 만듭니다. 작년에 맞았더라도 올해 유행하는 바이러스를 막을 수는 없으므로, 매년 가을철에 접종하여 그해 겨울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은 아플 때 맞는 주사가 아니라, 아프지 않기 위해 맞는 '건강 투자'입니다. 2025년, 미뤄왔던 예방접종을 꼼꼼히 챙겨 나와 내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한 해를 만드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