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상처를 입곤 하죠. 손가락을 베이거나, 넘어져서 무릎이 까지는 일은 흔하게 겪습니다. 대부분 소독하고 반창고 하나 붙이면 금방 낫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쉬운데요. 하지만 상처의 종류에 따라서는 '파상풍'이라는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설마 나한테 그런 일이 생기겠어?"라고 안심하기엔 파상풍의 결과는 너무나도 치명적입니다. 오늘은 파상풍이 얼마나 위험한지, 그리고 어떻게 우리 몸을 지킬 수 있는지 그 예방 대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파상풍이란 무엇인가요? (feat. 흙과 녹슨 금속)

파상풍은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에요. 이 균은 흙, 먼지, 동물의 분변 등 우리 주변 어디에나 존재하는데요, 평소에는 포자(spore) 형태로 있다가 상처를 통해 우리 몸속으로 들어오면 활동을 시작합니다.
몸속에 들어온 파상풍균은 '테타노스파스민'이라는 강력한 신경 독소를 만들어내요. 이 독소가 바로 문제의 핵심입니다. 이 독소는 우리 몸의 신경계에 침투하여 근육에 비정상적인 수축과 경련을 일으킵니다. 처음에는 목과 턱 근육이 뻣뻣해져 입을 열기 힘든 '개구불능(Lockjaw)' 증상이 나타나고, 점차 전신으로 퍼져나가 온몸이 활처럼 휘는 극심한 경련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 호흡 근육까지 마비시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무서운 병이죠.
파상풍은 사람 간에 전염되지는 않아요. 오직 흙이나 녹슨 금속 등에 있던 파상풍균이 상처를 통해 들어올 때만 감염됩니다. 특히 좁고 깊게 찔린 상처, 녹슨 못이나 칼에 베인 상처, 흙이나 동물의 분변에 오염된 상처, 동물에게 물린 상처 등은 파상풍 감염 위험이 매우 높으니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예방법: ‘예방접종’
파상풍은 한번 발병하면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사망률도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감염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파상풍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백신 접종'입니다.
- 영유아기 기본 접종: 아기들은 생후 2, 4, 6개월에 DTaP 백신(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으로 기초 접종을 하고, 이후 생후 15~18개월, 만 4~6세, 만 11~12세에 추가 접종을 통해 면역력을 강화합니다.
- 성인의 추가 접종: 많은 성인들이 어린 시절 접종만으로 평생 면역력이 유지된다고 착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파상풍 백신의 효과는 약 10년 정도 유지됩니다. 따라서 성인이 된 후에도 10년마다 Tdap 또는 Td 백신으로 추가 접종을 해야 충분한 방어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예방접종 기록이 불확실하거나, 10년이 훌쩍 넘었다면? 혹은 캠핑, 등산, 텃밭 가꾸기 등 야외 활동을 즐기거나 상처 입을 위험이 높은 환경에서 일한다면, 지금 바로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여 추가 접종을 상담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상처가 났을 때 응급 대처법
만약 파상풍 위험이 있는 상처를 입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상처 부위 소독: 가장 먼저 흐르는 깨끗한 물이나 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충분히 씻어내 흙이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합니다. 그 후 소독약을 이용해 소독하고 깨끗한 거즈로 상처를 보호합니다.
- 병원 방문: 상처가 깊거나 오염이 심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의사는 상처를 평가하고 파상풍 예방접종 이력에 따라 파상풍 백신이나 면역글로불린 주사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작은 상처라고 방심하는 순간, 파상풍균은 우리 몸을 공격할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나 하나쯤은 괜찮겠지'라는 생각 대신, '미리 준비해서 나를 지킨다'는 생각으로 정기적인 예방접종과 올바른 상처 관리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나와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 파상풍 예방접종!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편하게 물어봐 주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10분, 당신의 인생을 바꿀 가장 쉬운 습관 '명상' 효과 3가지 (2) | 2025.09.23 |
---|---|
50살 넘었다면 선택이 아닌 필수인 예방접종 5가지 (0) | 2025.09.23 |
딸꾹질 멈추는 가장 빠른 방법 3가지 (2) | 2025.09.23 |
매일 먹는 김치, 알고 먹으면 보약! 숨겨진 효능 3가지 (0) | 2025.09.22 |
도라지 효능으로 가을 겨울 기관지 건강 지키는법 (0) | 202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