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팔자걸음 오래 방치하면? 교정이 필요한 이유

반응형

평소 걸을 때 발가락이 바깥쪽을 향하는 '팔자걸음'을 하고 계시나요? "별일 아니겠지"라고 생각하며 방치하고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팔자걸음은 단순한 걸음걸이 습관이 아닌, 우리 몸 전체의 균형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신체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팔자걸음이란?

팔자걸음은 걸을 때 발끝이 정면이 아닌 바깥쪽(외측)을 향하는 걸음걸이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걸음걸이에서는 발가락이 앞을 향해야 하지만, 팔자걸음을 하는 사람들은 발이 '八'자 모양처럼 벌어져 보입니다.

 

팔자걸음 원인

 

고관절 구조적 문제

  • 고관절의 외회전근이 과도하게 발달하거나 긴장된 경우
  • 고관절 내회전근의 약화
  • 선천적인 고관절 각도 이상

근육 불균형

  • 둔부근육(엉덩이 근육)의 약화
  • 허벅지 앞쪽 근육과 뒤쪽 근육의 불균형
  • 종아리 근육의 긴장

생활습관 요인

  • 오래 앉아있는 생활
  • 다리를 꼬고 앉는 습관
  • 운동 부족으로 인한 근력 저하
반응형

기타 요인

  • 평발이나 요족 등 발 구조의 문제
  • 과체중으로 인한 보행 패턴 변화
  • 어린 시절부터 굳어진 잘못된 걸음걸이 습관

 

팔자걸음 방치하면 생기는 부작용

무릎 관절 손상과 퇴행성 변화

팔자걸음의 가장 직접적인 피해자는 무릎 관절입니다. 발이 바깥쪽을 향하면서 걸을 때마다 무릎에 비정상적인 회전력이 가해집니다.

 

  • 반월상연골 손상 위험 증가: 무릎 관절 내부의 반월상연골에 불균등한 압력이 가해져 조기 마모나 파열 위험이 높아집니다
  • 무릎 관절염 조기 발생: 무릎 연골이 고르지 않게 닳아 없어져 30-40대에도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십자인대 부담 증가: 무릎의 전후방 및 회전 안정성을 담당하는 십자인대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누적됩니다

 

고관절과 골반의 구조적 변화

팔자걸음은 고관절과 골반 전체의 정렬을 흐트러뜨립니다.

 

  • 골반 틀어짐: 좌우 골반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고 골반이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습니다
  • 고관절 충돌증후군: 고관절에서 뼈와 뼈가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통증과 운동 제한이 나타납니다
  • 이상근증후군: 엉덩이 깊숙한 곳의 이상근이 긴장되어 좌골신경을 압박, 다리 저림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허리와 척추에 미치는 악영향

하체의 불균형은 필연적으로 척추에 영향을 미칩니다.

 

  • 요추 전만 증가: 허리의 앞쪽 굽음이 심해져 허리디스크나 협착증 위험이 증가합니다
  • 척추측만증 악화: 이미 있던 척추 휜 것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만성 요통: 허리 주변 근육들이 지속적으로 긴장하여 만성적인 허리 통증이 발생합니다

 

발목과 발에 나타나는 문제들

  • 발목 불안정성: 발목을 지지하는 인대들이 약해져 자주 삐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족저근막염: 발바닥 근막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아침에 일어날 때 발뒤꿈치 통증이 나타납니다
  • 무지외반증 악화: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는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전신 근육의 불균형과 보상 작용

  • 보상적 자세 변화: 몸이 균형을 맞추려고 다른 부위에서 보상하면서 전신의 자세가 틀어집니다
  • 근육 피로도 증가: 잘못된 걸음걸이로 인해 정상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어 쉽게 피로해집니다
  • 운동 능력 저하: 달리기, 점프 등의 운동 시 효율성이 떨어지고 부상 위험이 높아집니다

 

연령대별로 나타나는 팔자걸음의 특징

 

5-18세

  • 성장하는 뼈와 관절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심각
  • 잘못된 보행 패턴이 평생 습관으로 고착될 위험
  • 성장판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져 다리 길이 차이 발생 가능
  • 운동 능력 발달에 부정적 영향

 

19-60세

  • 직장 생활로 인한 장시간 앉은 자세가 팔자걸음을 악화시킴
  • 무릎, 허리 등에 퇴행성 변화 시작
  • 운동 부족과 맞물려 근육 불균형 심화
  • 체중 증가 시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 급격히 증가

 

60세 이상

  • 이미 진행된 관절 손상으로 인한 심각한 통증과 기능 장애
  • 낙상 위험 증가로 골절 등 2차 손상 우려
  • 보행 능력 저하로 일상생활 제약
  • 무릎, 고관절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경우 증가

팔자걸음 자가진단 방법

  • 모래사장이나 눈 위를 걸어본 후 발자국을 확인
  • 발가락이 정면이 아닌 바깥쪽을 향하면 팔자걸음
  • 신발 뒤꿈치 바깥쪽이 유독 많이 닳았다면 팔자걸음의 신호
  • 좌우 신발의 마모 정도가 심하게 다르다면 더욱 주의
  • 전신거울 앞에서 자연스럽게 걸어보며 발가락 방향 확인
  • 가족이나 친구에게 뒤에서 걸음걸이 확인 부탁

 

병원 상담이 필요한 경우

  • 무릎이나 허리에 지속적인 통증이 있는 경우
  • 걸을 때 다리가 자주 저리거나 당기는 경우
  • 계단 오르내리기가 힘들어진 경우
  • 한쪽 다리에만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는 경우
  • 운동 후 관절 통증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

 

팔자걸음 교정 방법과 치료법

고관절 내회전근 강화 운동

  • 옆으로 누워서 다리 들어올리기
  • 탄력밴드를 이용한 다리 안쪽으로 당기기 운동
  • 브릿지 자세에서 무릎 모으기

 

둔부근육 강화

  • 스쿼트, 런지 등의 하체 근력 운동
  • 힙 브릿지 운동
  • 클램셸 운동

 

스트레칭

  • 고관절 외회전근 스트레칭
  • 허벅지 뒤쪽과 종아리 스트레칭
  • 이상근 스트레칭

 

보행 교정 훈련

  • 발가락을 앞으로 향하게 의식적으로 걷기 연습
  • 보폭과 걸음의 리듬 조절
  • 전문 물리치료사의 보행 분석과 교정 훈련

 

깔창과 보조기구 활용

  • 맞춤형 기능성 깔창으로 발의 정렬 개선
  • 무릎 보호대나 테이핑을 통한 관절 보호
  • 적절한 운동화 선택으로 발과 다리 지지력 향상

 

생활습관 개선

  • 장시간 앉아있는 시간 줄이기
  • 다리 꼬는 습관 개선
  • 적절한 체중 유지
  • 규칙적인 운동으로 하체 근력 강화

 

마무리

팔자걸음은 단순히 보기 좋지 않은 걸음걸이가 아니라, 우리 몸 전체의 건강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교정을 통해 충분히 개선할 수 있으므로, 지금부터라도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성장기 아이들의 경우 부모의 세심한 관찰과 조기 교정이 평생 건강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인의 경우에도 늦지 않았습니다. 꾸준한 운동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팔자걸음을 교정하고, 건강한 무릎과 허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