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목에 가시가 걸렸을때 증상과 해결 방법
건강다요트
2025. 10. 18. 00:07
반응형
맛있는 생선 요리를 즐기던 중, 갑자기 목에 탁! 하고 무언가 걸린 느낌. "혹시 가시가?" 하는 순간, 등골이 서늘해지는 경험 다들 있으시죠? 당황스러운 마음에 밥을 꿀꺽 삼키거나 식초를 마시는 등 위험한 행동을 하기 쉽습니다. 목에 가시가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절대 해서는 안 될 행동, 그리고 가장 안전한 해결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생선 가시가 목에 걸리는 것은 생각보다 흔한 일입니다. 대부분은 식도 입구 주변이나 편도에 가볍게 박히는 경우가 많지만, 날카로운 가시는 식도 점막에 상처를 내거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아이들이나 노인의 경우, 반응이 늦거나 표현이 어려워 더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중요합니다.
목에 가시가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
가시의 크기나 박힌 위치에 따라 증상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목 안에 무언가 걸려있는 듯한 이물감
-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느껴지는 따끔거림 또는 통증
- 목이 간질거리거나 기침이 남
- 불안감 및 불편함
- (드물게) 가시가 점막을 긁어 소량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음
경고! 절대 따라 하지 마세요! (위험한 민간요법)
가시를 빼내려고 시도하는 아래와 같은 행동은 가시를 더 깊숙이 박히게 하거나 식도에 심각한 상처를 낼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밥이나 김치 등 음식 덩어리 꿀꺽 삼키기: 가시를 더 깊이 밀어 넣을 수 있습니다.
❌ 식초 마시기: 식초의 산성이 가시를 녹인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이며, 오히려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손가락이나 핀셋 등으로 억지로 빼내려고 하기: 구역 반사를 유발하고 식도 점막에 2차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가시를 빼내려고 시도하는 아래와 같은 행동은 가시를 더 깊숙이 박히게 하거나 식도에 심각한 상처를 낼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밥이나 김치 등 음식 덩어리 꿀꺽 삼키기: 가시를 더 깊이 밀어 넣을 수 있습니다.
❌ 식초 마시기: 식초의 산성이 가시를 녹인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이며, 오히려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손가락이나 핀셋 등으로 억지로 빼내려고 하기: 구역 반사를 유발하고 식도 점막에 2차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해결 방법: 병원 방문
가장 먼저 시도해 볼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볍게 기침하기: 얕게 박힌 가시는 기침 반사로 자연스럽게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 물 마시기: 따뜻한 물을 천천히 마셔 가시가 쓸려 내려가도록 유도해 봅니다.
하지만 위 방법으로도 이물감이 사라지지 않거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해결책은 지체 없이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입니다. 의사는 후두경이나 내시경을 이용해 가시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고, 특수 제작된 의료용 겸자(집게)를 이용해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통증 없이 1~2분 내외로 간단하게 제거됩니다.
알아두세요! 병원 방문 전 금식?
가시 제거 시 구역 반사로 인해 구토할 수 있으므로, 병원 방문 전에는 가급적 금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가시가 깊숙이 박혀 내시경이 필요할 경우에도 금식이 도움이 됩니다.
가시 제거 시 구역 반사로 인해 구토할 수 있으므로, 병원 방문 전에는 가급적 금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가시가 깊숙이 박혀 내시경이 필요할 경우에도 금식이 도움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병원에 꼭 가야 하나요? 그냥 두면 저절로 빠지거나 녹지 않나요?
A: 저절로 빠지는 경우도 있지만, 가시는 녹지 않습니다. 그냥 둘 경우 염증을 유발하거나, 드물게 식도 벽을 뚫고 주변 조직으로 이동하여 심각한 합병증(식도 천공, 종격동염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불편함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에서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 가시가 안 보이는데 목은 계속 아파요. 어떻게 된 건가요?
A: 가시가 빠져나갔더라도, 가시가 박혔던 자리에 상처가 남아 통증이나 이물감이 며칠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열이 나거나, 침 삼키기 어려울 정도로 심하게 붓는다면 염증이 생긴 것일 수 있으니 다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Q: 늦은 밤이나 주말에 가시가 걸리면 어떡하나요?
A: 가까운 이비인후과가 문을 닫았다면,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응급실에는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상주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기본적인 처치나 가시 제거가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협진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Q: 생선 가시 말고 다른 것이 걸렸을 때도 이비인후과에 가야 하나요?
A: 네, 그렇습니다. 닭 뼈 조각, 약 포장지, 틀니 조각 등 목에 이물질이 걸렸다고 느껴질 때는 모두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목에 가시가 걸렸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입니다. 위험한 민간요법은 절대 금물! 불편함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찾아 안전하게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