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곱창, 대창’의 의외의 효능과 콜레스테롤 폭탄 부작용
건강다요트
2025. 10. 3. 14:00
반응형
찬바람 불면 생각나는 '곱창, 대창', 의외의 효능과 무서운 부작용
지글지글 익어가는 소리, 코를 자극하는 고소한 냄새! 쌀쌀한 가을밤, 퇴근 후 소주 한 잔과 함께하는 곱창과 대창은 많은 한국인들의 '소울푸드'죠. 그런데 이 마성의 맛 뒤에 숨겨진 효능과 치명적인 부작용의 두 얼굴, 제대로 알고 드시고 계신가요?
지글지글 익어가는 소리, 코를 자극하는 고소한 냄새! 쌀쌀한 가을밤, 퇴근 후 소주 한 잔과 함께하는 곱창과 대창은 많은 한국인들의 '소울푸드'죠. 그런데 이 마성의 맛 뒤에 숨겨진 효능과 치명적인 부작용의 두 얼굴, 제대로 알고 드시고 계신가요?
반응형
쫄깃한 곱창, 입안에서 터지는 크리미한 대창의 맛은 한번 빠지면 헤어나오기 힘든 매력을 가졌습니다. '기름진 음식이 몸에 안 좋다'는 것을 알면서도 "오늘까지만 먹자!"를 외치게 만들죠. 실제로 곱창은 예로부터 동의보감에도 기록될 만큼 영양학적 이점을 가진 부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창의 경우는 이야기가 조금 다릅니다. 오늘 그 효능과 위험한 진실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1. 우리가 몰랐던 '곱창'의 의외의 효능
소의 작은창자인 '곱창'은 생각보다 다양한 영양소를 품고 있는 부위입니다.

- 기력 보충 및 빈혈 예방: 곱창은 '기운을 돋운다'는 옛말처럼 철분과 비타민 B군이 풍부하여 예로부터 허약한 사람이나 환자의 보양식으로 쓰였습니다. 특히 철분 함량이 높아 빈혈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위벽 보호 및 소화 촉진: 곱창의 주성분은 튼튼한 근육층이며, 특유의 '곱'은 소화효소가 풍부한 소화액입니다. 이는 위벽을 보호하고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피부 미용 효과: 곱창에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 피부 탄력에 좋은 성분과 각종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미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고소한 맛의 함정, '대창'의 진실과 부작용
하지만 소의 큰창자인 '대창'의 경우는 이야기가 완전히 다릅니다. 많은 분들이 대창 안에 가득 찬 고소한 부분을 곱창의 '곱'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크나큰 오해입니다. 대창의 내부에 있는 것은 사실 '곱'이 아닌, 소의 내장 바깥에 붙어있던 '기름(지방)' 덩어리입니다. 상품화를 위해 대창을 뒤집어 내장지방을 안으로 밀어 넣은 것이죠. 즉, 대창구이는 '기름을 기름에 굽는' 요리인 셈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창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건강상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콜레스테롤 폭탄: 대창의 지방은 대부분 혈관 건강에 치명적인 포화지방입니다. 이는 혈중 나쁜 콜레스테롤(LDL) 수치를 급격히 높여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 높은 칼로리: 지방 함량이 매우 높아 대표적인 고칼로리 음식입니다. 1인분(150g)에 밥 두 공기를 훌쩍 넘는 칼로리를 섭취하게 될 수 있어 체중 관리에 매우 해롭습니다.
- 조리 시 발암물질 생성: 지방이 숯불에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연기에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라는 1급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름이 많은 대창은 조리 과정에서 이 발암물질에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알아두세요! (그래도 포기 못한다면, 건강하게 즐기는 법)
• 대창보다는 곱창을 선택하세요. 영양학적으로 곱창이 훨씬 나은 선택입니다.
• 채소와 함께 드세요. 부추, 양파, 마늘을 함께 구워 먹으면 채소의 식이섬유가 지방 및 콜레스테롤 배출을 돕습니다.
• 기름을 최대한 제거하세요. 구우면서 나오는 기름은 식빵이나 키친타월로 계속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 너무 바싹 태우지 마세요. 탄 부분에는 발암물질이 더 많으니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 대창보다는 곱창을 선택하세요. 영양학적으로 곱창이 훨씬 나은 선택입니다.
• 채소와 함께 드세요. 부추, 양파, 마늘을 함께 구워 먹으면 채소의 식이섬유가 지방 및 콜레스테롤 배출을 돕습니다.
• 기름을 최대한 제거하세요. 구우면서 나오는 기름은 식빵이나 키친타월로 계속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 너무 바싹 태우지 마세요. 탄 부분에는 발암물질이 더 많으니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경고! (이런 분은 정말 피하세요!)
이미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지방간 등 대사성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을 진단받은 분이라면 대창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분이라도 체중 관리가 필요하다면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미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지방간 등 대사성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을 진단받은 분이라면 대창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분이라도 체중 관리가 필요하다면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곱창 안에 있는 하얀 '곱'의 정체는 무엇인가요?
A: 곱창 속의 '곱'은 지방이 아닌, 소가 섭취한 음식물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생긴 소화액과 영양물질입니다. 다양한 소화 효소와 영양소가 섞여 있어 특유의 고소하고 쌉쌀한 풍미를 냅니다. 이것이 바로 곱창 맛의 핵심이죠.
Q: 막창(Makchang)은 곱창, 대창과 어떻게 다른가요?
A: 막창은 소의 '네 번째 위'를 말합니다. 창자(소장, 대장)가 아닌 위의 일부이기 때문에 훨씬 두껍고 쫄깃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지방 함량은 대창보다는 적고 곱창보다는 많은 편이며,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부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뿌리치기 힘든 유혹, 곱창과 대창. 곱창은 영양학적 이점도 있지만, 대창은 '맛있는 지방'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의 소울푸드를 건강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그 실체를 바로 알고, 똑똑하게 양을 조절하며, 채소와 함께 먹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오늘 저녁 약속이 있다면, 대창보다는 곱창 위주로 즐겨보시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